정부는 농촌을 살리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그중에서 디지털 농업 기술에 대한 보도가 있었는데요, 살고 싶은 농촌, 삶이 행복한 농업인, 디지털 혁신과 관련한 내용으로 다양한 부분에서의 변화를 기대하게 되었습니다.
농업에도 빅 데이터와 초 인공지능? 농촌 디지털 혁신
▣ 디지털농업기술 확산
☞ 더 정밀하고 편리한 농업
△ 작물별 인공지능(AI) 모델 확대
▪(’ 18~’ 20) 3종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 (’ 21) 5종 오이, 참외, 밀, 콩, 양파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진단 및 처방기술 개발
▪ (’ 21~’ 24) 작물 136종 콩, 사과, 감귤, 고추 등/ 병해충 300종 탄저병, 응애 등
△ 농업관측 분야 맞춤형 기술 개발
▪드론 활용 작물별 파종기술 개발
▪직파재배 시범단지 확대 (’ 20) 5.5ha → (’ 21) 105ha
▣ 청년 농업인 및 농업인 복지
☞ 찾아오는 농촌 · 행복한 농업인
△ 청년 농업인 종합기술지원체계 구축
▪ (’ 21) 기술창업시스템 DB구축 → (’ 22) 네트워크 강화 →(’ 23~’ 24) 고도화
▪온라인 창업교육, 농산물종합가공센터 확대 등
△ 지역 특화 작목 육성
▪고부가 특화작목(18개) 집중 투자 지역 주도형 농산물 소비확대 연구 강화 (’ 20) 56억 원 → (’ 21) 92억 원
△ 농촌 활력 및 치유농업 확산
▪32개소 여성농업인 능력개발
▪2개소 치유농업 센터
▪10개소 어르신 소일거리 사업장
▪21개소 치유농장
▣ 식량자급률 향상
☞ 국산 품종 보급 확대·재배기술 혁신
△ 외래품종 대체 우수 국산 품종 육성
▪ [벼](’ 21) 해 들 1,000ha 고시히카리 대체, (’ 21) 알찬미 2,000ha 아끼바레 대체
▪ [밀](’ 20/’ 21) 9개소 104ha 오프리, 아리흑 품종 등 지역특화단지 조성
▪ [원예·특작] 60개소 76ha 우리 품종 특화단지 조성
▪ [축산] 우수 씨가축 선발, 재래가축 활용 신품종 개발
△ 논 재배 적합 밭작물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
▪ (’ 20) 마늘, 감자 등 10 작목 재배 전 과정 기계화 → (’ 21) 밭농업기계 자동화·첨단화
▣ 현장 및 고객중심
☞ 안전한 농작업 / 믿을 수 있는 먹거리
△ 농약 허용기준 강화(PLS) 제도 정착
▪농약안전정보시스템 기능 개선
△ 기후변화 대응 및 농업환경 보전기술 개발
▪기후변화 적응 신품종 및 저탄소 재배기술 개발
△ 현장수요 반영 농작업 안전·편 이기술 개발
▪76개소 농작업 위험요소 개선사업 추진, 작업안전관리 지침서 개발
▣ K-농업 확산
☞ 국제협력 강화·개발 성과 확산
△ 열악한 농업기후 지대 국가 식량안보 지원
▪UAE_사막 벼 재배기술 확립 (물 절약 재배기술, 3차 실증 연구 추진)
▪아프리카_통일형 벼 품종 등록 확대(우간다 등 3 국가 7 품종)
△ 개도국 대상 맞춤형 농업기술 개발 및 보급(KOPIA)
▪기술개발 강화, 시범마을 확대
그리고 첨단 농업기술 개발 선도 농업현안 공동 해결을 위하여 여러 국가 및 국제기관 참여하여 신기술 개발 프로젝트인 뉴프론티어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나날이 발전하는 농업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응원합니다.
'정보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S 기반 카카오 택시 앱 미터 도입 자율 주행 모빌리티 (0) | 2021.02.13 |
---|---|
온라인 추모 비 대면 차례 세배 카카오 톡 라이브 톡 (0) | 2021.02.12 |
평등&존중 사회, 여성 일자리 센터, 아이 돌봄 홈페이지 (0) | 2021.02.10 |
국가 바이오 빅 데이터 희귀 질환 의료,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건강 (0) | 2021.02.09 |
부처협업 고등학교 교과서 한국사 수학 국어 영어 (0) | 2021.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