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도 빅 데이터와 초 인공지능? 농촌 디지털 혁신
본문 바로가기
정보리뷰

농업에도 빅 데이터와 초 인공지능? 농촌 디지털 혁신

by 배집사 2021. 2. 11.
반응형

정부는 농촌을 살리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그중에서 디지털 농업 기술에 대한 보도가 있었는데요, 살고 싶은 농촌, 삶이 행복한 농업인, 디지털 혁신과 관련한 내용으로 다양한 부분에서의 변화를 기대하게 되었습니다.

농촌개혁
농업에도 빅 데이터와 초 인공지능? 농촌 디지털 혁신

 

농업에도 빅 데이터와 초 인공지능? 농촌 디지털 혁신

 

▣ 디지털농업기술 확산
☞ 더 정밀하고 편리한 농업

△ 작물별 인공지능(AI) 모델 확대
▪(’ 18~’ 20) 3종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 (’ 21) 5종 오이, 참외, 밀, 콩, 양파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 진단 및 처방기술 개발
▪ (’ 21~’ 24) 작물 136종 콩, 사과, 감귤, 고추 등/ 병해충 300종 탄저병, 응애 등

△ 농업관측 분야 맞춤형 기술 개발
▪드론 활용 작물별 파종기술 개발
▪직파재배 시범단지 확대 (’ 20) 5.5ha → (’ 21) 105ha

 

 

▣ 청년 농업인 및 농업인 복지
☞ 찾아오는 농촌 · 행복한 농업인

△ 청년 농업인 종합기술지원체계 구축
▪ (’ 21) 기술창업시스템 DB구축 → (’ 22) 네트워크 강화 →(’ 23~’ 24) 고도화
▪온라인 창업교육, 농산물종합가공센터 확대 등

△ 지역 특화 작목 육성
▪고부가 특화작목(18개) 집중 투자 지역 주도형 농산물 소비확대 연구 강화 (’ 20) 56억 원 → (’ 21) 92억 원

△ 농촌 활력 및 치유농업 확산
▪32개소 여성농업인 능력개발
▪2개소 치유농업 센터
▪10개소 어르신 소일거리 사업장
▪21개소 치유농장


▣ 식량자급률 향상
☞ 국산 품종 보급 확대·재배기술 혁신

△ 외래품종 대체 우수 국산 품종 육성
▪ [벼](’ 21) 해 들 1,000ha 고시히카리 대체, (’ 21) 알찬미 2,000ha 아끼바레 대체
▪ [밀](’ 20/’ 21) 9개소 104ha 오프리, 아리흑 품종 등 지역특화단지 조성
▪ [원예·특작] 60개소 76ha 우리 품종 특화단지 조성
▪ [축산] 우수 씨가축 선발, 재래가축 활용 신품종 개발

 

 

△ 논 재배 적합 밭작물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
▪ (’ 20) 마늘, 감자 등 10 작목 재배 전 과정 기계화 → (’ 21) 밭농업기계 자동화·첨단화


▣ 현장 및 고객중심
☞ 안전한 농작업 / 믿을 수 있는 먹거리

 

△ 농약 허용기준 강화(PLS) 제도 정착
▪농약안전정보시스템 기능 개선

△ 기후변화 대응 및 농업환경 보전기술 개발
▪기후변화 적응 신품종 및 저탄소 재배기술 개발

△ 현장수요 반영 농작업 안전·편 이기술 개발
▪76개소 농작업 위험요소 개선사업 추진, 작업안전관리 지침서 개발


▣ K-농업 확산
☞ 국제협력 강화·개발 성과 확산

△ 열악한 농업기후 지대 국가 식량안보 지원
▪UAE_사막 벼 재배기술 확립 (물 절약 재배기술, 3차 실증 연구 추진)
▪아프리카_통일형 벼 품종 등록 확대(우간다 등 3 국가 7 품종)

△ 개도국 대상 맞춤형 농업기술 개발 및 보급(KOPIA)
▪기술개발 강화, 시범마을 확대

 

농촌혁신
농업 초 인공 지능 디지털 혁식



그리고 첨단 농업기술 개발 선도 농업현안 공동 해결을 위하여 여러 국가 및 국제기관 참여하여 신기술 개발 프로젝트인 뉴프론티어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나날이 발전하는 농업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응원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