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산불예방 및 산불신고 스마트 산림재해 산불감시원
본문 바로가기
정보리뷰

봄철 산불예방 및 산불신고 스마트 산림재해 산불감시원

by 배집사 2021. 3. 15.
반응형

봄, 가을이 되면 산불에 대해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요,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기간에는 작은 불씨 하나가 돌이킬 수 없는 어마어마한 산불을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산불을 예방하고 대응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반드시 지켜야 할 것들은 무엇인지 이번 시간에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에불
봄철 산불예방 및 산불신고 스마트 산림재해 산불감시원

 

봄철 산불예방 및 산불신고 스마트 산림재해 산불감시원

산불예방, 내일을 위한 모두의 약속입니다. 건조한 날씨가 위험한 봄철, 산불 이렇게 예방과 대응합니다.

▣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한 산불대응
△ 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
▪ 산불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 산불 발생 시 신속한 정보의 수집, 분석, 판단 등의 임무 수행

 

 

△ 산불 진화
▪ 산불지휘차량에 ICT 기술을 활용한 산불상황관제시스템(8종)을 장착하여 체계적인 산불진화 작업 진행
△ 산불 원인 조사
▪ 산불이 모두 진화되고 나면 산불조사, 감식반이 현장에 투입되어 산불 발생원인 규명


▣ 산불 신고 및 예방법
△ 신고 방법
▪산림청 산불상황실 ☎042-481-4119
▪소방서 ☎119, 경찰서 ☎112
▪APP [스마트 산림재해] 스마트폰에서 산불신고 가능

△ 산불예방
▪라이터 등 화기물 소지 및 흡연 금지
▪허용된 지역 외 취사 및 야영 금지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 소각 금지

※ 산불 처벌규정
▪과실로 인하여 산불은 낸 사람은 「산림보호법」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산화재산속화재
산불 예방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고 하지 말아야 할지 정리해드립니다.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는 어떠한 제도와 방법으로 산불방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같이 알아보았습니다.

 

 

▣ 우리 숲 지키기
▪논, 밭두렁 태우기와 같은 소각행위 근절
▪허용된 지역 외에서 취사나 캠핑 활동 자제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은 시기엔 입산금지구역 출입 자제
▪라이터 또는 성냥 등 인화성 물질 (화기물 소지 금지, 흡연 절대 금지)은 두고 산행
▪초기 산불을 발견 시에는 소화기 방화사 등으로 초기 진화
▪산불 발견 시에는 빠른 신고


▣ 정부 차원 산불방지 노력
△ 지역별 산림면적 분포
▪산악지역이 많은 강원도, 경상도가 전체 산림면적의 54%

△ 산불 발생 원인
▪최근 10년간 연평균 산불발생 (440건)
▪입산자 실화(34%), 소각산불(29%)이 산불원인의 대부분

△ 계절별 산불발생 빈도
▪강수량이 적고 건조한 봄, 겨울철에 산불발생이 집중

△ 산불발생건수 및 산불피해면적
▪봄철 건조한 날씨와 강풍의 영향으로 대형산불 발생이 증가
▪산림피해만 (857 ha)(축구장 면적의 1,174배 규모)

△ 정부차원 대책
▪ 정부기관 및 지자체 합동* 소각산불 방지 대책 추진
* 주관기관 : 산림청, 협업기관 : 행정안전부, 농식품부, 환경부
▪ 산림 및 산림연접지 인화물질 제거사업
▪ 소각산불 없는 녹색마을 캠페인

 

소화하기화재진압
스마트 산림재해



△ 산불 없는 대한민국을 위한 예방 활동
▪ 산불 소화시설 17개소/년
▪ 산불방지 안전공간 조성사업 20개소/년
▪ 산불감시원 운영 10.561명



작은 산불은 매일 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하지만 봄철 건조한 날씨가 대형산불로 이어질 수 있기에 봄철 산불조심 기간에는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산불예방은 여러분의 도움이 꼭 필요하며, 우리 모두 산불예방에 동참해야 하며, 가장 확실한 산불예방은 모두의 관심에서 시작됩니다. 산불 신고해 주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