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위성 천리안 위성 발사 1주년, 미세 먼지 계절 관리 제
본문 바로가기
정보리뷰

환경위성 천리안 위성 발사 1주년, 미세 먼지 계절 관리 제

by 배집사 2021. 2. 27.
반응형

2020년 2월 18일에 발사된 우리나라의 환경 위성, 올해로 2년 차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21년 2월 19일 정지궤도 환경 위성(천리안 위성 2B호)의 발사 1주년을 맞이하여 그간 환경위성센터의 주요 성과를 발표하고 올해의 중점 추진계획을 밝혔습니다!

국가위성
환경위성 천리안 위성 발사 1주년, 미세 먼지 계절 관리 제

 

환경위성 천리안 위성 발사 1주년, 미세 먼지 계절 관리 제

환경위성 발사 1주년 아시아 위성 네트워크 시대를 맞이하여, 2020년 2월 19일 정지궤도 환경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된 이후 1년간 어떤 기특한 일을 해냈는지 한번 확인해 보실까요?^^

 

 

▣ 환경위성, 천리안 위성 2B
▪ 2020년 2월 18일 오후(현지시간) 우리 독자기술로 개발된 세계 최초의 환경감시 정지궤도위성 천리안위성 2B호
▪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French Guiana) 쿠루(Kourou)의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
▪ 천리안위성 2B호는 발사 약 31분 후 고도 약 1,630km 지점에서 아리안-5 발사체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
▪ 이어 약 6분 뒤에 호주 야 사라가(Yatharaga) 지상국과의 첫 교신에도 성공



▣ 환경위성 위성 발사 후 주요 성과
▪ 아시아 대기질 위성영상 첫 공개
▪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 대기질 예보 지원

△ 아시아 대기질 위성영상 첫 공개
▪ 국립환경과학원은 위성 발사 성공 이후 8개월여간의 초기 시험과정을 거친 뒤 11월 18일, 아시아 대기질 위성영상을 처음으로 공개

 

환경위성위성발사
미세 먼제 계절 관리 제


△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총 20개 위성 연구기관과 대학이 참여하는 국제검증팀 구성
▪ 아시아 13개국과의 환경위성 공동 활용을 위한 4자간 업무협약 체결
- 국립환경과학원, 한국 국제협력단,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이사회, 한국 환경공단
▪ 제2차 아시아 대기질 국제 공동조사 사전 캠페인을 실시하여 위성이 지상관측 대비 약 80~90% 수준의 높은 정확도임을 확인

△ 대기질 예보 지원
▪ 대기질 예보 지원을 위해 위성 기반의 분석 정보를 제공
▪ 미세먼지 계절 관리제 성과 분석 등을 수행
▪ 12월부터는 매시간 생성되는 위성영상을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 통합 예보 센터에 실시간 제공

 

 

▣ 2021년 중점 추진계획
△ 대기질과 기후 감시를 위한 위성 기반 입체 관측망 구축
▪ 위성-항공-지상 관측으로 입체 관측망 확보
▪미세먼지 측정 및 기후 대기 정책 효과의 과학적 분석 강화

△ 아시아 위성 활용 네트워크 본격 구축
▪ 아시아 13개국에 지상 원격 장비(판도라) 설치
▪우리나라 주도의 아시아 위성 활용 네트워크 구축
▪아시아권 내에서 대기 분야 주도권 확보
▪환경 외교의 대외 영향력 강화

△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 자료 서비스 개시
▪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오존 등 8종을 우선 공개(3월)
▪5종을 추가 공개(10월)하여 금년 내 총 13종을 공개 예정
▪환경위성센터 누리집(http://nesc.nier.go.kr)에 공개

 

대기질정보지구관리
우리 동네 대기 질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정지궤도 환경위성 활용기술 개발에 책임을 다하고 있는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에서는 고농도 미세먼지 2050 탄소중립 선언에 따른 기후 감시를 수행하는 환경 위성의 관측 정보는 국가 기후대기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있어 과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반응형

댓글